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40

아프면 알게 되는 것들 feat. 독감 잠을 별로 못잤다.요즘 유행하는 독감에 걸린듯하다.아직 병원 문이 열리기까진2시간을 더 기다려야 한다.코가 막혀서 숨이 잘안쉬어진다.호흡의 소중함을 새삼 다시 알게된다.온몸이 춥고 쑤시고 아프다.따듯한 이불과 전기매트의 감사함을 알게된다.만사가 귀찮고 에너지가 없다.나의 의지력을 테스트하게 되고,오늘해야할 정말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된다.두통이 심해 생각 자체가 힘들어 판단력이 떨어진다.남은 힘을 통해 할 수 있는게 무엇인지 생각하게 된다.감정에 사용할 에너지조차 바닥이 나면,덧없고 쓸때없는 것에 감정을 소비하지 않게 된다.아픔을 당장 달랠 방법을 없을 때가 되면,자연적으로 내려놓는 마음으로 이 아픔 또한 깨달음과 치료의 과정임을 받아드리게 된다.견디다 견디다 버터야할 시간이 너무 어려울때면내가.. 2025. 1. 15.
돌고 돌아 명상 명상에 처음 관심를 갖게 되었던건지대넓얕 김도인님으로부터다.팟캐스트로 재밌게 이야기 해주셔서좀더 쉽게 접하게 되었다.2018년 초쯤에 리프레쉬 마인드라는명상 수업을 아내와 참여했다.안산에서 주말에 선릉까지 가야했는데차로 가도 조금 멀어서 아 너무 멀다 했는데늘 다녀온후 마음이 정화되고 주의력이 강화되었다.올해 새롭게 시작한 책으로잭 콘필드의 “마음의 숲을 거닐다”를 읽고 있다.이 책도 명상 수업중에서 한켠에 여러권 쌓여있어서 김도인님에게 문의 후 바로 구매했던 책이다.근데 7년이 지난 지금.이제서야 읽고 있다.때가 된 것일까.책꽃이에서 무슨 책을 읽을까 보다가 덥썩 집어들었다.어디선가 물에 젖었나 곁표지가 울어있다.다행히 표지만 조금 울었다.이제 100페이지 남짓 읽었는데읽고 있는 것만으로 마음이 정화되.. 2025. 1. 15.
2024년 회고 2007년부터 나만의 10대 사건을 작성하는 방식으로 간단한 회고를 적었다.삶을 대하는 태도부담감 나태함 욕심자존감 다시초심부터 새로운 탈출구인정 등등의 단어들이 떠오르는 2024년이였다.아래는 나의 10대 사건을 GPT에게 물어본 결과다나는 목표지향적인 사람이다.20살때부터 새로운 사람을 만나면대뜸 꿈이 뭐냐고 물었다.(지금도 종종 그런다.)목표 꿈 이런 단어가 요즘엔 개인적으로 조금 부정적인 느낌이다.너무 결과론적 사고방식으로 추구하는 느낌 때문이다.그래서 나의 현재 상태는 이율배반적이다.그래서 혼란하다.전력질주하고 금방지쳐 쉬다가 게으른 모습에 화들짝 놀라 억지로 일으켜 세우고그리고 다시 전력질주의 반복이 회고도 몇번을 생각하며 썼다 지우며 반복하다더는 지체하고 싶지 않아서 쓴다.무엇이든 하는게 중.. 2025. 1. 12.
강박 어떤 생각이나 감정에 사로잡혀 심리적으로 심하게 압박을 느낌.나는 오늘 하루가 지나기전에글을 남겨야한다는 강박을 가지고 있다.그래서 똥글이라도 써보려한다.대체로 나는 강박에 자주 빠지는 것 같다.스스로 무형의 감옥을 만든다. 강박이 때론 긍정적 효과도 있다고 생각이 든다.무언가를 하게 만드는 원동력이랄까?예전에 나의 또 다른 분신(?) 블로그에썼던 글을 링크해본다. 거기서 나와라사람에게는 자유의지가 있다. 그렇지만 대다수의 사람은 본인이 자유롭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다들 보이지 않는 울타리에 갇혀있다. 학교, 직장, 가족 등등... 여러 상황과 관계에 의해 묶여있다orgeous.tistory.com2021년도 3월에 썼으니 3년 9개월전에 썼네.저땐 저렇게도 당차게 글을 뿌렸네.저 당신 주변에 누군가가정.. 2024. 12. 26.
당신은 무엇을 태우나요, 우리가 사랑을 말할 때, 누구나 집요한 순간은 있잖아 - 스테디에세이클럽 지난 10월 20일 어느 일요일.나는 아내와 아들을 데리고, 성수동에서 진행한 서울 퍼블리셔스 테이블 북페어에 다녀왔다.이전 직장 동료 마고&지니가 참여한 책이 출판했다.궁금했다.어떤 글을 썼을지 궁금했고, 지니와 마고의 얼굴이 궁금했다.북페어 현장은 수많은 사람들로 북적였다.책을 주제로 수 많은 사람들이 모였다는게 신기했다.몇바퀴 돌아본 후 지니를 찾았다. 아니 사실 지니가 우릴 먼저 찾아냈다. 지니는 특유의 순수하고 해맑은 미소로 우릴 반겨줬다.아쉽게도 마고는 그날 현장에 있지 않아 보지 못했다.간단한 책 설명을 듣고 3권 패키지로 책을 구매했다.북적이고 어수선한 주변 탓에 조금 아쉬웠지만 짧은 만남을 끝낸 후서둘러 북페어를 빠져나왔다. 근처에 있는 서울숲공원을 들렸다.오랜만에 가족과 함께하는 서울 .. 2024. 12. 25.
판단을 내려놓고 모든 것을 수용하며 삶을 바라보라 우리는 아주 어릴 때부터 이분법적인 사고를 배우며 성장한다.선과 악, 좋은 것과 나쁜 것, 해도 되는 것과 하면 안 되는 것.이런 기준은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 필수적이지만, 동시에 우리의 사고방식을 제한하고 삶의 가능성을 좁히기도 한다.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거쳐 고등교육을 받고 다양한 사회생활을 경험하면서, 우리는 끊임없이 새로운 정보를 접하게 된다. 그런데 그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옳고 그름을 먼저 따지며 부정적인 판단을 내리는 경향이 강하다. 이런 습관은 단지 교육 때문만은 아니다. 사회적 기대, 문화적 영향, 그리고 스스로 만든 고정관념이 얽히며 형성된다.판단이 앞서는 삶의 한계이분법적 사고는 안전함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창의성과 수용성을 가로막는다... 2024. 11. 20.